top of page
33.jpg
55.jpg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온라인 과학매거진 코스모스

  • 블랙 페이스 북 아이콘
  • 블랙 인스 타 그램 아이콘

화약은 어떤 영향을 미쳤나

화약이란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이 화약을 “터지는 물질”이라고 이해하고 있고 그 정의는 대체로 옳다. 화약이란 폭발반응을 공업용, 군사용에 이용하는 폭발성 물질 또는 혼합물을 의미한다. 화약, 그 중에서도 우리가 주로 화약이라고 하면 떠올리는 흑색화약은 질산칼륨(KNO3), 숯(C), 유황(S)으로 만들어진다. 질산칼륨은 산화제로서 작용하며, 연소를 위해 필요한 산소를 공급한다. 숯은 주로 탄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료 역할을 하여 산화될 때 에너지를 방출한다. 유황은 연료와 산화제 사이의 반응을 촉진하며, 연소 속도를 증가시킨다. 화약은 현재 누구나 재료만 있다면 만들 수 있겠지만 과거에는 인류 역사를 바꿔버린 매우 혁신적인 발명품이었다. 화약은 중국의 4대 발명품이라고 불릴 정도로 중요한 기술이었고 군사적으로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 이렇게 인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화약의 역사는 어떻게 될까?

흔히 화약이라고 하면 떠올리는 흑색화약

 

화약의 역사

중국의 연금술사 웨이보양은 서기 142년에 화약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전쟁 무기를 만들려는 의도는 없었겠지만 연금술은 화약과 깊은 연관이 되어있는 만큼 연금술을 하며 발견된 유황과 초석을 사용한 실험은 화약의 가능성이 되었다. 그리고 차차 발전해나가던 화약은 서기 1000년경에 충분한 파괴력을 가진 물질이 되었다. 이 시기의 문헌인 《무경총요》(武经总要)에는 화약의 초기 형태와 그 제조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 주로 질산칼륨, 숯, 유황을 혼합해서 만들었고 폭발성을 가지고 있다고 서술되어있다.

화약은 발명되고 나서 자연스럽게 군사적인 용도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10세기경, 초기 화약 제조법은 폭발성도 있었지만 인화성이 매우 높았기 때문에 불화살로 사용되었고 화약을 통해 로켓을 발사하기도 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중국은 더욱 복잡한 화약 무기를 개발해 나갔다. 13세기에는 화포와 같은 대형 화약 무기가 등장하였고 이러한 무기들은 여러 전쟁 상황에서 강력한 파괴력을 보여주었다.

중국에서 발명된 화포

화약은 중국에서 발명된 후, 여러 경로를 통해 서아시아와 유럽으로 전파되었다. 화약이 중국에서부터 서아시아와 유럽으로 전파된 경로 중 하나는 실크로드이다. 실크로드는 동서양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역로로, 물품을 거래하면서 자연스레 기술과 지식도 교환되었다. 또한, 13세기 몽골 제국 역시 화약의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몽골의 군대는 화약을 이용한 여러 무기를 사용했고 화약 무기를 이용해 광범위한 영토를 정복하였다. 그리고 이는 정복지에 화약 기술이 전파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렇게 화약은 13세기 말에서 14세기 초에 유럽에 전파되었고, 이는 유럽의 군사 기술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유럽인들은 화약의 제조법을 빠르게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독자적인 무기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화약을 이용한 포탄과 간단한 대포가 개발되었으며, 이는 중세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유럽의 기술자들은 화약 무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실험과 개선을 시도했다. 15세기에는 대포와 총기의 발달이 가속화되었으며, 이는 전쟁의 양상을 크게 변화시켰다. 중세 유럽의 전쟁에서 성곽은 중요한 방어 수단이었다. 그러나 화약을 이용한 대포의 등장으로 성곽은 더 이상 중요한 방어 수단이 될 수 없었고 자연스레 전투는 개방된 공간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개방된 공간에서의 전투와 화약 무기의 발달은 보병의 중요성을 증대시켰다. 중세 전쟁에서의 핵심 전력은 기사였지만, 화약 무기의 발달은 총기를 든 수많은 보병들이 핵심 전력이 되도록 만들었다. 그렇게 기사 계급이 몰락하고 전문 군인과 훈련된 보병 부대의 시대가 열렸다.


중세 유럽과 화약의 영향

기사 계급이 몰락한 것은 그저 군대의 핵심 인력의 변화만으로 끝나지 않았다. 기사 계급의 몰락으로 중세의 봉건적 지배 계급과 군사 조직은 사라졌고 그 자리를 중앙집권적인 지배 계급이 대신했다. 또한, 전술과 전략의 측면에서도 큰 변화가 있었다. 대포와 총기는 사용하기 위해 정교한 조준과 발사가 요구되었기 때문에 전문적인 훈련이 필요했다. 따라서, 군사 학교와 훈련 프로그램이 발전되었고 군대는 점점 전문적으로 변화되었다. 이는 국가의 군사력을 강화했고 근대 국가 형성의 기초가 되었다.

중세 유럽의 총기 보병

해상 전투에서도 화약 무기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화약을 이용한 대포를 장착한 전함은 해상 전투에서 엄청난 파괴력을 선보일 수 있었고 유럽 국가들은 해상전을 위해 대포를 개발해야 했다. 특히, 강력한 함대를 보유한 국가들은 해상에서의 지배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무역로를 개척하고, 식민지를 확장할 수 있었다. 대항해시대에 유럽의 탐험가들은 화약 무기로 무장한 함대를 이끌고 신대륙을 탐험하고 정복했다.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대포를 장착한 함대를 이용해 아메리카 대륙을 정복하고, 광대한 식민지 제국을 건설했다. 이러한 해상 패권 경쟁은 이후 네덜란드, 영국, 프랑스 등 다른 유럽 국가들로 확산되었고, 이들은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도 식민지 확장에 나섰다.


이렇게 화약이 군사 부문에서 활발히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경제 구조 역시 변화하기 시작했다. 화약 무기의 대량 생산은 새로운 산업을 탄생시켰고, 화약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질산칼륨, 숯, 유황 등의 원료는 중요한 무역 품목이 되었으며, 이들 원료의 생산과 유통은 새로운 경제 활동을 창출했다. 대포와 총기 등의 무기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제조 공정과 전문 기술이 필요했기에 제조 기술 역시 점점 발달했고 초기 산업화가 촉진되었다. 또한, 화약과 무기 생산을 위한 공장이 설립되면서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에도 기여했다.


현대의 화약

현대에 들어서 화약은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발전했다. 전통적인 화약에서 시작된 기술은 여러 단계의 혁신을 거쳐 다양한 형태로 진화했다. 현대 화약의 발전은 주로 무연화약과 고성능 폭약의 개발로 특징지어진다. 무연화약은 전통적인 흑색화약과 달리 연기와 잔여물이 거의 없는 화약을 말한다. 다이너마이트와 같은 무연화약은 19세기 말에 개발되어 빠르게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고성능 폭약은 폭굉이라는 충격파가 일어날 정도로 빠르게 반응하는 화약을 말한다. TNT(트라이나이트로톨루엔)와 같은 고성능 폭약은 강력한 폭발력을 제공하며, 현대의 다양한 무기 시스템에 사용된다. 이러한 폭약들은 공중 폭격, 미사일, 지뢰 등 다양한 군사 장비에 사용되어 전투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현대에 사용되는 무연화약 중 하나인 다이너마이트

또한, 화약의 용도는 더 이상 군사 과학 분야에 국한되지 않는다. 건설과 광산업 분야에서 화약은 필수적인 도구로 사용된다. 터널을 뚫거나 광산을 개발할 때, 화약을 이용한 폭파 기술은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불꽃놀이와 같은 오락을 위해서도 화약은 사용된다. 불꽃놀이는 정교한 화약 기술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안전하고 아름다운 시각적 효과를 제공한다.


화약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영화 산업에서는 특수 효과를 위해 화약이 사용되며, 이는 현실성을 강화하고 관객에게 생생한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소방서에서는 화약을 이용한 방화 훈련을 통해 실전 대응 능력을 향상시킨다. 화약은 화학 산업에서도 중요한 원료로 사용된다. 다양한 화학 반응을 촉진하거나 실험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며, 이는 과학 기술의 발전에 기여한다. 이러한 다양한 용도는 화약의 유연성과 중요성을 보여준다.

 

김태이 학생기자 | Chemistry | 지식더하기


참고자료

[1] 『술탄의 총: 오스만 제국의 군사력과 무기 산업』, 가보르 아고슈톤

[2] 『중국의 과학과 문명 5』, 조셉 니담

[3] Nichele, Jakler; Borges, Itamar (1 February 2023). "Nitrocellulose-based propellants: elucidation of the mechanisms of the diphenylamine stabilizer employing density functional theory"


첨부 이미지 출처

ⓒ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온라인 과학매거진 KOSMOS

Comments


워터마크_colored.png

KOSMOS는 KSA Online Science Magazine of Students의 약자로,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이 만들어나가는 온라인 과학매거진 입니다.

단체소개  운영진에게  이용약관  기자단 페이지

​본 단체와 웹사이트는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의 지원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저작물의 무단 전재 및 배포시 저작권법 136조에 의거 최고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습니다. 

© 2018 한국과학영재학교 온라인 과학매거진 KOSMOS. ALL RIGHTS RESERVED. Created by 김동휘, 윤태준.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바로가기

_edited_edited.p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