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33.jpg
55.jpg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온라인 과학매거진 코스모스

  • 블랙 페이스 북 아이콘
  • 블랙 인스 타 그램 아이콘

아름다움, 그 뒤의 치명적인 실체 – 바이러스의 기하학적 구조

바이러스는 다양한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며, 이는 그들의 생물학적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바이러스의 구조는 주로 단백질 껍질인 캡시드(capsid)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캡시드는 바이러스의 유전 물질을 보호하고 숙주 세포에 침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바이러스의 캡시드는 종종 정교한 기하학적 대칭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바이러스가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생물학적 이점을 제공한다.


캡시드, 효율성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가지다

캡시드는 단백질 소단위체인 캡소머(capsomere)들이 모여서 형성되며, 대부분의 경우 정이십면체(icosahedral) 또는 나선형(helical) 대칭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기하학적 대칭 구조는 바이러스가 최소한의 유전 정보로 최대한의 보호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정이십면체 구조는 동일한 단백질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껍질을 형성하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이다. 이는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에서 빠르게 증식하고 퍼질 수 있도록 한다.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의 스키마. 정이십면체의 형태를 띈 캡시드를 가지고 있다.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의 스키마. 정이십면체의 형태를 띈 캡시드를 가지고 있다.

바이러스의 기하학적 구조의 생물학적 이점
  1. 유전자 보호 및 전달 캡시드는 바이러스의 유전 물질(DNA 또는 RNA)을 보호하여 외부 환경의 변화나 숙주 세포의 방어 기작으로부터 유전 물질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캡시드는 숙주 세포에 바이러스 유전 물질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도와준다.

  2. 숙주세포 인식 및 결합 캡시드의 특정 구조는 숙주 세포의 표면 수용체와 상호작용하여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에 결합하고 침투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캡시드 단백질은 숙주 세포의 특정 수용체를 인식하여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내로 유입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바이러스의 안정성 정이십면체와 같은 대칭 구조는 바이러스가 물리적, 화학적 스트레스에 대해 더 높은 안정성을 가지도록 한다. 이는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외부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그렇다면 이러한 캡시드 구조를 이용하는 바이러스에는 무엇이 있을까? 대표적인 예시인 박테리오파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는 박테리아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로, 이들의 기하학적 구조와 캡시드는 바이러스의 기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예시를 제공한다. 대표적인 박테리오파지인 T4 파지를 예로 들면, T4 파지는 복잡한 정이십면체 머리와 나선형 꼬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전형적인 박테리오파지의 구조
전형적인 박테리오파지의 구조
  1. T4 파지의 구조 T4 파지의 머리 부분은 정이십면체 구조로, 내부에 바이러스의 DNA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나선형 꼬리 부분은 박테리아 세포벽을 뚫고 DNA를 박테리아 내부로 주입하는 데 사용된다.

  2. 감염 메커니즘 T4 파지는 꼬리섬유(tail fiber)를 사용하여 박테리아의 표면 수용체에 결합한다. 결합 후, 꼬리 부분이 수축하면서 박테리아 세포벽을 뚫고 바이러스 DNA를 주입한다. 이 과정에서 T4 파지의 기하학적 구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이십면체 머리는 유전 물질을 보호하고, 나선형 꼬리는 유전 물질을 정확하게 주입할 수 있게 한다.

  3. 생물학적 이점 T4 파지의 기하학적 구조는 박테리아 세포벽을 효과적으로 뚫고 유전 물질을 주입할 수 있게 하며, 이는 박테리아 내부에서 바이러스가 빠르게 증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정이십면체 머리 구조는 외부 환경에서 T4 파지가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게 하여 전파 가능성을 높인다.


실제 마이크로파지의 모습
실제 마이크로파지의 모습
결론

바이러스의 기하학적 구조, 특히 캡시드는 바이러스의 생존과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박테리오파지와 같은 바이러스의 사례는 이러한 구조가 바이러스의 효율적인 감염과 안정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잘 보여준다. 이러한 이해는 바이러스 연구와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기반이 된다. 바이러스의 기하학적 구조에 대한 깊은 이해는 앞으로의 바이러스 연구와 대응 전략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김채유 학생기자 | Biology | 지식더하기


참고자료

[1] https://ko.wikipedia.org/wiki/%EC%BA%A1%EC%8B%9C%EB%93%9C

[2] https://www.ibs.re.kr/cop/bbs/BBSMSTR_000000000971/selectBoardArticle.do?nttId=18224

[3] https://synapse.koreamed.org/articles/1145943


첨부 이미지 출처

[1] https://ko.wikipedia.org/wiki/%EC%BA%A1%EC%8B%9C%EB%93%9C

[2] https://ko.wikipedia.org/wiki/%EB%B0%95%ED%85%8C%EB%A6%AC%EC%98%A4%ED%8C%8C%EC%A7%80

[3] https://cdn.kyongbuk.co.kr/news/photo/201710/1006740_286530_3013.jpg


ⓒ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온라인 과학매거진 KOSMOS

Comments


워터마크_colored.png

KOSMOS는 KSA Online Science Magazine of Students의 약자로,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이 만들어나가는 온라인 과학매거진 입니다.

단체소개  운영진에게  이용약관  기자단 페이지

​본 단체와 웹사이트는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의 지원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저작물의 무단 전재 및 배포시 저작권법 136조에 의거 최고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습니다. 

© 2018 한국과학영재학교 온라인 과학매거진 KOSMOS. ALL RIGHTS RESERVED. Created by 김동휘, 윤태준.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바로가기

_edited_edited.png
bottom of page